목차
냄새와 식감이 개와 고양이의 기호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면, 냄새와 식감을 좌우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다음 8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사료 관련 요소 4가지
향미제
향미제는 사료에 특유한 향을 부여하거나 제조 공정 중 손실된 원재료 본래의 향을 보강하는 식품첨가물이에요. 우리가 알고 있는 사료 특유의 구수하면서 꼬릿한(?) 향이 바로 사료 공정의 마지막 과정에서 알갱이 표면에 코팅한 향미제의 냄새지요. 주로 닭 간을 액상화하여 넣는데, 브랜드와 제품마다 다른 향미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료의 맛 역시 다르답니다.
주 육류 재료의 종류와 신선도
사람도 물냉 vs. 비냉, 밀 떡 vs. 쌀 떡 등의 선호가 있듯, 개와 고양이도 닭고기 vs. 양고기와 같은 선호가 있어요. 그리고 개와 고양이는 산화되지 않은 신선한 지방의 향을 선호하기 때문에 재료의 신선도 역시 기호성에 영향을 준다고 해요.
사료의 온도와 수분
음식의 온도가 높아지고 수분이 많아지면 입자가 공기 중에 후각 기관으로 더 빨리 전달되어 향이 강하게 발산됩니다. 일반적으로 향이 더 강한 습식이 건식보다 기호성이 더 좋은 이유입니다. 냉장고에서 갓 꺼낸 시원한 습식보다는 체온에 가까운 온도를 더 선호한다고 해요.
알갱이의 모양과 식감
구강 구조와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알갱이의 종류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입이 작고 납작한 아이의 경우 큰 알갱이는 먹기 어려울 수 있고, 이빨과 잇몸이 아픈 친구라면 딱딱한 알갱이는 씹기 힘들 수 있어요. 그리고 호기심 대왕(!) 고양이의 경우 새롭고 특이한 모양에 호기심을 갖는다고 해요.
사료 외부 요소 4가지
어릴 때 먹어본 맛의 종류
다양한 원재료와 제형을 먹어본 개와 고양이일수록, 커서도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낮을 확률이 높다고 해요. 따라서 어른이 되기 전에 다양한 고기의 향과 바삭하고 촉촉한 건/습식 사료의 맛을 골고루 체험해보는게 앞으로의 식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사료의 신선한 보관
사료를 보관하는 방법 역시 기호성과 관련이 있어요. 사료가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가 진행되면 과산화물이 생기고, 이는 사료의 향을 변질시키고 기호성을 떨어뜨립니다.
날씨
개는 더우면 헥헥대며 숨을 쉬는 동시에 냄새를 맡지 못해요. 따라서 더위로 인해 일시적으로 개의 후각 능력이 감소하면 평소에는 잘 먹을 음식도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어요.
보호자의 관심
개에게는 무리 생활의 습성이 남아 있어 식사를 단순 칼로리 섭취가 아닌 사회 활동으로 받아들입니다. 보호자의 관심과 주변 환경이 기호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퍼플잼의 모든 콘텐츠는 '콘텐츠산업진흥법'에 따라 제작 또는 갱신 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복제, 모방 시 법적인 처벌을 받습니다.
・ 콘텐츠의 명칭: 상품설명 구성 및 내용, 이미지, 영상, 컨텐츠, 디자인
・ 콘텐츠 제작자: 주식회사 퍼플네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