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DA 리콜을 보는 이유
펫푸드 역사가 긴 미국은 식품의약처 (이하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제품 조사를 통해, 혹은 소비자의 제보를 받아, 또는 제조사가 자발적으로 문제를 발견한 경우 접수를 받아 해당 상품에 대한 리콜을 시행합니다.
따라서 리콜 기록은 제조사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식품 안전을 유지해나가는지에 대한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펫푸드 리콜 기록을 조회하여 지속적으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FDA의 리콜 기록 중, 국내 유통중인 주요 강아지 펫푸드 브랜드의 리콜 이력의 요약 리스트입니다.
FDA 개 펫푸드 브랜드별 리콜 기록
(수정: 2019. 5. 24)
브랜드명 |
상품명 |
리콜시기 |
리콜사유 |
ANF |
양고기와 쌀 건사료 |
2018 |
비타민 D 과잉 |
K9 |
닭고기 패티 (raw frozen) |
2015 |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
내추럴 발란스 |
고구마&사슴고기 외 5종 |
2012 |
살모넬라균 |
|
고구마&닭고기 |
2010 |
살모넬라균 |
|
소고기, 닭고기와 양고기 포뮬라 캔 외 2종 |
2007 |
멜라민 |
|
HOBO Chili 캔 외 3종 |
2007 |
보툴리누스균 |
네이쳐스 버라이어티 |
인스팅트 닭고기 포뮬라 외 1종 |
2015 |
살모넬라균 |
|
오가닉 닭고기 |
2013 |
질식 위험 이물질 발견 |
|
프레리 닭고기 메다이옹 외 2종 |
2010 |
살모넬라균 |
노스웨스트 |
냉동 닭고기와 연어 (국내 미 유통 제품) |
2018 |
리스테리아균 |
뉴트로 |
애플 츄이 간식 |
2015 |
곰팡이 |
|
울트라 퍼피 외 2종 |
2009 |
생산 라인에서 플라스틱 검출 |
|
개 사료 전 품목 |
2007 |
멜라민 |
다이아몬드 |
저지방 사료 외 4종 |
2015 |
아플라톡신 발암 물질 |
로얄캐닌 |
센서블 초이스 닭고기 외 20종 |
2007 |
멜라민 |
|
수의사 처방식 3종 |
2006 |
비타민 D 과잉 |
메릭 |
굿버디 프라임 패티 소고기 외 4종 |
2018 |
소고기 갑상선 호르몬 |
|
위시본 간식 외 1종 |
2011 |
살모넬라균 |
|
비프 필레 스퀘어 외 1종 |
2010 |
살모넬라균 |
바이탈에센셜 |
동결건조 소고기 토퍼 외 2종 |
2018 |
살모넬라균 |
|
치킨 패티 |
2016 |
살모넬라균 |
|
냉동 소고기 대창 앙트레 외 1종 |
2015 |
리스테리아균 |
블루버팔로 |
홈스타일 레시피 야채&닭고기 외 1종 |
2017 |
금속오염 |
|
윌더니스 로키마운틴 레시피 어덜트 |
2017 |
소고기 갑상선 호르몬 |
|
디바인딜라이트 뉴욕 스트립 외 15종 |
2017 |
포장 불량 |
|
라이프 프로텍션 포뮬라 생선&고구마 |
2016 |
곰팡이 |
|
윌더니스 츄스 본 |
2015 |
살모넬라균 |
|
윌더니스 닭고기 외 2종 |
2010 |
비타민 D 과잉 |
|
블루 습식 캔, 간식 전 품목 |
2007 |
멜라민 |
솔리드 골드 |
울프컵 대형견용 퍼피 외 1종 |
2012 |
살모넬라균 |
스텔라앤츄이스 |
냉동 스텔라스 슈퍼 소고기 디너 모셀 외 2종 |
2015.12 |
리스테리아균 |
|
냉동 오리 구스 디너 모셀 외 7종 |
2015.7 |
리스테리아균 |
스포츠맨즈 프라이드 |
대형견용 건사료 |
2018 |
비타민 D 과잉 |
시져 |
클래식 필레미뇽 습식 |
2016 |
질식 위험 이물질 발견 |
아보덤 |
브리더스초이스 액티브케어 관절사료 |
2013 |
곰팡이 |
|
내추럴 양고기분&현미 어덜트 |
2012 |
살모넬라균 |
아이암스 |
쉐이커블 트릿 칠면조 |
2018.3 |
곰팡이 |
|
헬시 내추럴스 어덜트 닭고기 외 6종 |
2018.8 |
살모넬라균 |
|
프로액티브 헬스 스마트 퍼피 건사료 |
2011 |
아플라톡신 발암 물질 |
|
청크스 외 2종 다수 |
2007 |
멜라민 |
어니스트 키친 |
버브 사료 외 2종 |
2013 |
살모넬라균 |
어딕션 |
뉴질랜드 주머니쥐와 야채 캔 외 1종 |
2018 |
칼슘, 인 배합비 불균형 |
에보 |
건식 사료와 간식 |
2016 |
살모넬라균 |
와이송 |
메인터넌스 외 2종 |
2013 |
곰팡이 |
웰니스 |
95% 토퍼 캔 |
2017 |
소고기 갑상선 호르몬 |
|
컴플리트 헬스 슈퍼5믹스 대형견 퍼피 외 1종 |
2012 |
살모넬라균 |
|
헬스 건식 사료 소형견 어덜트 |
2012 |
수분 오염 |
|
닭고기와 청어 |
2011 |
티아민 불균형 |
유키누바 |
대형견 어덜트 외 9종 |
2013 |
살모넬라균 |
|
내추럴리 와일드 건사료 전품목 외 2종 |
2010 |
살모넬라균 |
이노바 |
사료와 간식 전 품목 |
2013 |
살모넬라균 |
이벤져 |
습식 캔 2종 |
2011 |
펜토바 |
이볼브 |
닭고기&쌀 퍼피 |
2018 |
비타민 D 과잉 |
캐니대 |
전연령용 양고기&라이스 외 4종 |
2017 |
살모넬라균 |
|
캐닌 캐비어 2종 |
2012 |
멜라민 |
캘리포니아 내추럴 |
건식 사료, 비스킷, 바, 간식 전 품목 |
2007 |
살모넬라균 |
커크랜드 |
슈퍼 프리미엄 양고기&쌀&야채 어덜트 외 4종 |
2012 |
살모넬라균 |
|
시그니처 프리미엄 버라이어티 팩 |
2007 |
멜라민 |
케닌캐이버 |
고메 칠면조 외 1종 |
2007 |
멜라민 |
테이스트 오브 와일드 |
건식 사료 전 품목 |
2012 |
살모넬라균 |
팀버울프 |
오가닉스 오션 블루 외 1종 |
2008 |
구토 증세로 자발적 리콜 |
페디그리 |
브랜드 컴플리트 뉴트리션 어덜트 |
2014 |
이물질 발견 |
|
체중조절 프리미엄 그라운드 앙트레 외 2종 |
2012 |
질식 위험 이물질 발견 |
|
대형견 뉴트리션 어덜트 외 2종 |
2008 |
살모넬라균 |
퓨리나 |
프로플랜 5종, 베네풀 전 품목 |
2016 |
살모넬라균 |
|
원 비욘드 닭고기&보리 어덜트 |
2013 |
살모넬라균 |
프롬 |
닭고기 파테 캔 외 2종 |
2016 |
비타민, 미네랄 불균형 |
프라이멀 펫푸드 |
오리, 칠면조&정어리 동결건조 |
2017 |
골분 입자 크기 초과 |
프리미엄 엣지 |
생산코드 10, 11번째 자리 수에 2와 3이 들어가는 전 품목 |
2012 |
살모넬라균 |
힐스 |
처방식 소화계 관리 닭고기&야채 스튜 캔 |
2019.5 |
비타민 D 과잉 |
|
처방식 요로계 관리 외 7종 |
2019.3 |
비타민 D 과잉 |
|
처방식 요로계 관리 외 23종 |
2019.1 |
비타민 D 과잉 |
|
소고기 캔 외 7종 |
2015 |
라벨링 표기 오류 |
|
사이언스 다이어트 어덜트 스몰 앤 토이 |
2013 |
살모넬라균 |
주요 리콜 사유
1.유해 성분 포함:
1-1.멜라민: 2007년 리콜 파동의 원인으로 밝혀진 유해 성분입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음식에 들어갈 이유가 없으나, 중국 제조사에서 단백질 함량을 가시적으로만 높이기 위해 사용된 적이 있습니다. 멜라민이 검출된 사료를 먹고 다수의 반려동물들이 신장 관련 질병을 앓거나 죽었으며, 동물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상당히 유해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2.프로필렌 글리콜: 보습 기능이 있는 성분이나 심각한 혈액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FDA에 의해 펫푸드 재료로 사용이 금지된 성분입니다. 섭취 시 우울증, 조정 능력 상실, 근육 경련, 과다 배뇨와 목마름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1-3.펜토바르비탈: 아주 소량으로도 진정, 최면, 마취 효과가 있는 약물로, 주로 비상 상황에서의 경련 조절 혹은 안락사를 시킬 때 쓰입니다. 안락사 된 동물의 사체를 재료로 썼기 때문에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섭취량에 따라 구토, 무기력증, 혼수상태 그리고 죽음에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2.세균 및 유해 미생물 감염:
2-1. 살모넬라균: 세균성 식중독을 일으키는 유해 미생물로 식품에서 검출되면 안되는 세균입니다. 펫푸드 제조공정 중 일부 오염된 원재료를 취급 중에 사람의 손이나 기계로 옮겨진 균이 완제품이 포장되는 과정에 들어가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염 시 무기력증, 설사, 혈변, 구토, 열,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2-2. 기타 곰팡이: 아폴라톡신, 마이코톡신과 같은 독성 곰팡이는 옥수수, 밀과 같은 식물성 원료가 제조 공정 중 혹은 오랜 기간 보관되던 중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염 시 무기력증, 설사, 혈변, 황달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신장 질환 및 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3. 보툴리누스균: 신경독소를 분비하는 세균으로, 제조 공정에서 원료 가공 과정이 적합하지 않아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섭취 시 식중독, 근육과 뇌의 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독소량이 높으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3.영양소 불균형:
3-1. 티아민 불균형/결핍: 비타민 B1으로도 알려진 티아민은 신경과 근육 활동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티아민 결핍 시 신진대사 전반에 영향이 있으며, 심각할 시에는 심장계, 신경계, 감각, 운동 및 반사 기능에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2. 칼슘 인 배합비 불균형: 칼슘과 인은 뼈와 치아의 주요 구성 요소로, 적정 비율은 1:1에서 2:1 사이 입니다. 배합 비율이 지켜지지 않으면 골격 기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잉 섭취 시 타 미네랄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즉각적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불균형 섭취를 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3-3. 비타민 D 과잉: 칼슘과 인의 흡수에 관여하여 골격 형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과잉 섭취 시 비타민D 중독으로 이어져 무기력증, 비정상적인 빈번한 수분 섭취와 배뇨 활동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비타민D 과잉 섭취는 신장 기능 장애를 비롯한 생명에 치명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4. 소고기 갑상선 호르몬 위험: 소의 목에 있는 갑상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으로, 사용한 소고기의 가공 과정에서 갑상선이 철저하게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섭취 시 갑상선 호르몬의 과다로 에너지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만들어내어 몸이 더워지고 땀이 많이 나며 체중이 줄고 심박수가 빨라지는, 심한 경우엔 죽음에 이르게 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퍼플잼의 모든 콘텐츠는 '콘텐츠산업진흥법'에 따라 제작 또는 갱신 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복제, 모방 시 법적인 처벌을 받습니다.
・ 콘텐츠의 명칭: 상품설명 구성 및 내용, 이미지, 영상, 컨텐츠, 디자인
・ 콘텐츠 제작자: 주식회사 퍼플네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