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DA 리콜을 보는 이유
펫푸드 역사가 긴 미국은 식품의약처 (이하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제품 조사를 통해, 혹은 소비자의 제보를 받아, 또는 제조사가 자발적으로 문제를 발견한 경우 접수를 받아 해당 상품에 대한 리콜을 시행합니다.
따라서 리콜 기록은 제조사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식품 안전을 유지해 나가는지에 대한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펫푸드 리콜 기록을 조회하여 지속적으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FDA의 리콜 기록 중, 국내 유통중인 주요 고양이 펫푸드 브랜드의 리콜 이력의 요약 리스트입니다.
FDA 고양이 사료 브랜드별 리콜 기록
(수정: 2019. 4. 16)
브랜드명 |
상품명 |
리콜시기 |
리콜사유 |
내추럴 발란스 |
오션 피쉬 포뮬라 캔 외 1종 |
2007 |
멜라민 |
네이쳐스 |
오가닉 닭고기 메다이옹, 패티 |
2013 |
질식 위험 이물질 발견 |
버라이어티 |
프레리 닭고기 메다이옹 외 2종 |
2010 |
살모넬라균 |
뉴트로 |
내추럴 초이스 컴플리트 케어 키튼 외 6종 |
2009 |
칼슘, 인 배합비 불균형 |
다이아몬드 |
내추럴스 키튼 |
2013 |
티아민 결핍 |
|
메인터넌스 사료 외 1종 |
2005 |
아플라톡신 발암 물질 |
로얄캐닌 |
수의사 처방식 하이포알러제닉 외 1종 |
2007 |
멜라민 |
|
수의사 처방식 3종 |
2006 |
비타민 D 과잉 |
메릭 |
주니어 텍사스 태피 간식 |
2011 |
살모넬라균 |
|
비프 필레 스퀘어 1종 |
2010 |
살모넬라균 |
블루버팔로 |
블루 키티 염스 테이스티 닭고기 레시피 간식 |
2015 |
플로필렌 글리콜 |
|
블루 스파 캔 전 품목 외 1종 |
2007 |
멜라민 |
스텔라앤츄이스 |
냉동 병아리 닭고기 닭고기 디너 모셀 |
2015.12 |
리스테리아균 |
|
동결건조 닭고기 디너 외 4종 |
2015.7 |
리스테리아균 |
아이암스 |
헬시 내추럴스 어덜트 닭고기 외 9종 |
2013 |
살모넬라균 |
|
인도어 체중조절 헤어볼 케어 건사료 |
2010.8 |
살모넬라균 |
|
신장 처방식 |
2010.7 |
살모넬라균 |
|
프로액티브 헬스 습식캔 전 품목 |
2010.6 |
티아민 결핍 |
|
플레이크와 연어 외 4종 |
2007 |
멜라민 |
에보 |
그레인프리 칠면조&닭고기 포뮬라 |
2014 |
비타민, 미네랄 불균형 |
|
건식 사료, 비스킷, 바, 간식 전 품목 |
2013 |
살모넬라균 |
웰니스 |
닭고기&청어 외 6종 |
2017 |
이물질 발견 |
|
습식 캔 전 품목 |
2011 |
티아민 불균형 |
유카누바 |
습식 전 품목 |
2007 |
멜라민 |
이노바 |
사료와 간식 전 품목 |
2013 |
살모넬라균 |
이볼브 |
키튼 포뮬라 |
2007 |
멜라민 |
캘리포니아 |
건식 사료, 비스킷, 바, 간식 전 품목 |
2013 |
살모넬라균 |
커크랜드 |
슈퍼 프리미엄 메인터넌스 닭고기&쌀 외 1종 |
2012 |
살모넬라균 |
테이스트 오브 와일드 |
건사료 전 품목 |
2012 |
살모넬라균 |
퓨리나 |
뮤즈 내추럴 닭고기 그레이비 레시피 캔 |
2019 |
질식 위험 이물질 발견 |
|
수의사 처방식 체중관리 캔 |
2012 |
티아민 결핍 |
|
원 vibrant maturity 시니어 외 1종 |
2011 |
살모넬라균 |
프라이멀 펫푸드 |
칠면조 냉동사료 |
2015 |
티아민 결핍 |
|
닭고기&연어 포뮬라 냉동사료 |
2011 |
살모넬라균 |
프리미엄 엣지 |
피니키캣 어덜트 외 2종 |
2013 |
티아민 결핍 |
|
상품코드 9번째 자리수에 2,3이 들어가는 전 품목 |
2012 |
살모넬라균 |
|
피니키캣 어덜트 외 1종 |
2009 |
티아민 결핍 |
프리스키스 |
그릴러 블랜드 건사료 |
2011 |
살모넬라균 |
헤일로 |
스팟 스튜 칠면조 레시피 |
2015 |
곰팡이 |
힐스 |
프리스크립션 다이어트 외 6종 |
2007 |
멜라민 |
주요 리콜 사유
1. 유해 성분 포함 :
1-1. 멜라민: 2007년 리콜 파동의 원인으로 밝혀진 유해 성분입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음식에 들어갈 이유가 없으나, 중국 제조사에서 단백질 함량을 가시적으로만 높이기 위해 사용된 적이 있습니다. 멜라민이 검출된 사료를 먹고 다수의 반려동물들이 신장 관련 질병을 앓거나 죽었으며, 동물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상당히 유해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2. 프로필렌 글리콜: 보습 기능이 있는 성분이나 심각한 혈액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FDA에 의해 펫푸드 재료로 사용이 금지된 성분입니다. 섭취 시 우울증, 조정 능력 상실, 근육 경련, 과다 배뇨와 목마름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세균 및 유해 미생물 감염:
2-1. 살모넬라균: 세균성 식중독을 일으키는 유해 미생물로 식품에서 검출되면 안되는 세균입니다. 펫푸드 제조공정 중 일부 오염된 원재료를 취급 중에 사람의 손이나 기계로 옮겨진 균이 완제품이 포장되는 과정에 들어가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염 시 무기력증, 설사, 혈변, 구토, 열,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3. 영양소 불균형:
3-1. 티아민 불균형/결핍: 비타민 B1으로도 알려진 티아민은 신경과 근육 활동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티아민 결핍 시 신진대사 전반에 영향이 있으며, 심각할 시에는 심장계, 신경계, 감각, 운동 및 반사 기능에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2. 칼슘 인 배합비 불균형: 칼슘과 인은 뼈와 치아의 주요 구성 요소로, 적정 비율은 1:1에서 2:1 사이 입니다. 배합 비율이 지켜지지 않으면 골격 기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잉 섭취 시 타 미네랄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즉각적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불균형 섭취를 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3-3. 비타민 D 과잉: 칼슘과 인의 흡수에 관여하여 골격 형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과잉 섭취 시 비타민D 중독으로 이어져 무기력증, 비정상적인 빈번한 수분 섭취와 배뇨 활동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퍼플잼의 모든 콘텐츠는 '콘텐츠산업진흥법'에 따라 제작 또는 갱신 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복제, 모방 시 법적인 처벌을 받습니다.
・ 콘텐츠의 명칭: 상품설명 구성 및 내용, 이미지, 영상, 컨텐츠, 디자인
・ 콘텐츠 제작자: 주식회사 퍼플네스트